2025년 양육수당 지급 기준 및 나이·소득 기준 알아보기

2025년 기준, 양육수당 제도는 가정양육을 선택한 보호자에게 매월 현금을 지원하는 제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양육수당의 지급 조건, 연령 제한, 소득 관계, 금액 변경사항까지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



양육수당 지급 기준


양육수당은 보육시설이나 유치원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경우에 한해 지급됩니다.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지급 대상이 됩니다.


  • 보육료, 유아학비, 부모급여 등을 수령하지 않을 것
  •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미이용
  • 주소지 주민등록이 대한민국이며 실제 거주 확인 가능


양육수당 나이 제한





2025년 기준 양육수당은 다음 연령대의 아동에게만 적용됩니다. 연령은 ‘월 기준’으로 계산하며, 아래 연령을 초과하면 자동 중단됩니다.


연령 기준 지원 가능 여부
0~23개월 부모급여 적용 (양육수당 지급 안 됨)
24개월~86개월 미만 양육수당 지급 대상
만 7세 이상 (87개월 이상) 지급 종료


양육수당 소득 기준


양육수당은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지급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중산층, 고소득자 등 모두 동일한 기준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소득·재산 조사 없음
  • 별도 기준 없이 보육시설 미이용 시 신청 가능
  • 소득이 높아도 조건 충족 시 전액 지원

양육수당 금액 변경 (2025년 기준)


양육수당은 지역과 연령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최근 변경된 2025년 기준 금액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구분 지원 금액
기본 (도시지역) 월 100,000원
농어촌 지역 월 120,000원


금액은 매년 예산 및 물가상승률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정부 발표에 따라 조정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소득이 높은데도 받을 수 있나요?
  • 네. 양육수당은 소득과 무관하게 지급됩니다.
  • Q2. 어린이집에 다니다가 쉬는 경우는요?
  •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기간 동안만 양육수당 신청 가능합니다.
  • Q3. 만 2세 미만 아동도 양육수당 신청 가능한가요?
  • 아니요. 만 0~1세 아동은 부모급여 대상이며, 양육수당과 중복 지원되지 않습니다.
  • Q4. 중간에 어린이집을 다니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 보육료 지원으로 자동 전환되며, 양육수당은 중단됩니다.

마무리 요약

양육수당은 보육시설 미이용, 만 24~86개월 미만 아동에게 소득 제한 없이 지급되며, 도시지역 월 10만 원, 농어촌 월 12만 원이 지원됩니다. 신청 전 지원 조건과 나이 기준을 반드시 확인하시고, 보육시설과의 이용 여부를 체크한 후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육수당 지급 기준 및 나이·소득 기준 알아보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