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영유아를 직접 양육하는 가정은 다양한 정부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각각의 제도는 연령, 중복 가능 여부, 지역 조건 등에 따라 지급 기준이 다르므로 정확히 비교한 뒤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육시설 미이용 가정을 위한 주요 지원금 비교
아래 표는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가정이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지원금 제도를 비교한 것입니다.
지원금명 | 지원 대상 | 지원 금액 | 중복 수령 여부 | 비고 |
---|---|---|---|---|
부모급여 | 만 0세~1세 가정양육 아동 |
월 100만 원(0세), 50만 원(1세) |
불가 (보육료 중 택1) | 전국 공통 |
양육수당 | 만 2세~6세 보육 미이용 아동 |
월 10만 원 (농어촌 12만 원) |
불가 (보육료·부모급여 중복 불가) | 전국 공통 |
영아수당 | 일부 지자체 만 0~1세 | 월 10~20만 원 | 불가 (부모급여와 중복 불가) |
지자체별 운영 |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아동 |
월 약 6~9만 원 상당 바우처 | 가능 | 행복e음 등록 필요 |
아동수당 | 만 0세~만 7세 미만 전체 아동 | 월 10만 원 | 가능 (다른 지원금과 병행 가능) |
소득 기준 없음 |
지원금 선택 시 유의사항
- 보육료·양육수당·부모급여는 중복 수령이 불가능합니다.
- 보건복지부 기준 연령에 따라 지원금이 자동 전환되거나 종료됩니다.
- 지자체별로 영아수당이나 추가 지원금이 운영될 수 있으므로 주민센터 확인 필요
- 아동수당은 모든 아동에게 지급되며, 타 수당과 중복 수령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부모급여와 양육수당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 아니요. 하나의 제도만 선택해야 하며, 이중 신청 시 자동 반려됩니다.
- Q2. 기저귀·조제분유 바우처는 부모급여와 중복 가능한가요?
- 네, 중복 수령 가능합니다. 단, 소득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Q3. 아동수당은 왜 항상 지급되나요?
- 소득 기준 없이 만 7세 미만 전체 아동에게 지급되는 기본 복지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요약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양육을 선택한 가정은 다양한 국가·지자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지원금별 중복 불가 조건과 아동의 연령, 소득 기준을 잘 파악한 뒤 신청해야 하며, 지역마다 추가 지원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